요즘 하루가 다르게 날씨가 여름으로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요 댕댕이들의 여름철 주의해야 할 사항 및 미용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무더운 여름 산책 시 진드기나 해충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데요 이럴 경우 대처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여름철 산책 및 유의사항
오늘도 낮 기온이 29까지 오랐는데요 앞으로 점점 더 더워질 날씨에 사랑하는 반려견을 위해 유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여름철엔 잠깐동안 반려견을 차에 두는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요 30도를 웃도는 날의 차 내부온도는 85도까지 높아진다고 합니다. 생명까지도 위협을 줄 수 있으므로 차에 강아지를 혼자 두지 않아야 합니다. 여름철 강아지 산책도 신경 써야 하는데요 아스팔트 표면 온도가 60도 이상을 기록하기도 하므로 화상을 입을 위험성도 있습니다. 특히 단두종의 경우 열을 식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탈진의 위험도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오전 9시 전 또는 오후 6시 이후로 너무 덥지 않은 시간에 산책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진드기나 벼룩등이 몸에 달라붙지 않게 주의하여야 하며 진드기는 장모종에 쉽게 붙기 때문에 산책 후 밝은 빛에서 촘촘한 빗으로 꼼꼼히 빗질해주어야 합니다. 강아지의 경우 발바닥과 혀에 땀샘이 있어 뜨거운 아스팔트와 열기로 인해 탈수증이 오기 쉬우므로 산책 시에는 반드시 물을 챙기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습도가 높아지면 강아지들은 피부병의 위험도 높아지게 되므로 목욕 후에는 잘 건조해주며 특히 발바닥 털은 습진의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건조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제습기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름철에는 벌레도 많아지기 때문에 기생충. 심장사상충에도 주의하여야 하며 심장사상충은 모기로부터 감염이 되니 매달 예방이 필요합니다.
여름철 미용 짧게 해야 하나요?
일부 보호자 분들은 날이 더워지니 강아지 털을 짧게 밀어주고자 희망하십니다. 하지만 정작 강아지는 피부에 땀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밀어줘도 시원하다고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강아지에게 털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먼지 및 자외선으로부터 보호기능을 갖고 있어 이를 완전히 밀어주게 되면 자외선의 과도한 노출 체온유지의 어려움이 있어 오히려 냉방병이나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이중모 견종이라면 더욱더 털을 밀어서는 안 됩니다. 겉털은 햇빛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털갈이로 빠진 속 공간에는 시원한 바람이 통하며 체온을 낮춰줍니다. 일부 견종에서는 짧게 미용을 하고 특정 부분에 털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일도 있는데 (알로페시아 증후군) 이는 미용 후 탈모증후군으로써 클리퍼에 대한 과민반응이거나 과도한 털에 의한 휴지기가 생각 것입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회복될 수 있으나 영구탈모로 남기도 합니다. 만일 3주 후에도 털길이 차이가 많다면 병원을 찾을 것을 추론합니다. 이중모 견종은 여름철 털갈이 시즌에 빗질을 꼼꼼히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중모 견종이 아니라 할지라도 털은 피부의 화상과 체온조절 역할을 하므로 완전히 미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짤게 미용을 하였다면 외출 시에 옷을 입혀주어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철에는 강이지 목욕을 좀 더 자주 시키게 되는데요 먼지의 제거 죽은 털 제거등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며 2주~3주마다 한번 미온수로 목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눈건강을 위해 한창 자외선이 강렬한 12~16 사이의 산책은 삼가는 게 좋으며 그늘진 곳 위주로 산책하기와 함께 진드기방지 스프레이를 뿌려 진드기 벼룩등의 해충을 예방해 줍니다.
진드기 대처법은?
강아지가 진드기에 물리는걸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는데요 강아지가 진드기에 물리면 바베시아라는 원충이 강아지에게 전파가 되는데 이 바세시 아는 강아지의 적혈구에 기생하면서 강아지의 빈혈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잔디나 풀에 숨어 숙주를 찾다가 사람이나 개가 다가오면 빨리 옮겨가서 증상을 일으키는데요 추운 겨울을 제외하고 언제든지 위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늦게 알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안 좋은 경우 사망에 이른다고 하니 우리 반려견에게 진드기란 정말 위험한 존재인 것입니다. 하지만 진드기에 물렸는지 안 물렸는지 확인하기 쉽지 않은데요 감염 시 수일간의 잠복기를 거치기 때문이에요. 산이나 풀이 많은 곳으로 산책을 가서 혹시나 반려견이 진드기에 물린 게 아닌지 걱정된다면 최소 1~2주 정도는 강아지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며 식욕부진이나 기력저하, 창백, 황달등의 증상이 육안으로 보이는지 꼼꼼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강이지 몸에서 진드기가 발견되었다면 진드기의 일부일 수 있기 때문에 떼어내기만 하는 것이 아닌 발견즉시 병원으로 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며 산책 시 진드기 예방 목걸이 스프레이등을 구비해 산책 전후로 사용하거나 강아지 구충제를 일정기간을 두고 계속 투여하여 예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산책 후 가려움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샴푸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씻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방이 최선이며 물렸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을 기억하시면 안전하게 반려견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