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그쇼> 유래 나이별 조편성 및 진행과정 BIS란? 도그쇼 심사의 모든것

by smijstory 2025. 6. 7.

 

 

도그쇼의 유래와 어떻게 조 편성되는지?

도그 쇼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는 아니며 외국에서 들어온 시스템이다.
도그쇼는 영국과 미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영국의 도그 쇼는 1886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시작이 되었다. 이 전람회는 빅토리아 여왕의 후원으로 유지되어 오다 1948년에 영국애견협회(KC)에서 인수하여 오늘에까지 발전시켜 왔다.
이 전람회가 세계 양대 전람회중에 하나인 크라프트쇼이며 다른 또 하나의 전람회는 미국애견협회(AKC)의 웨스트 민스턴쇼이다. 미국의 웨스트 민스턴 쇼는 1877년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2003년 127회 대회가 뉴욕닉스의 전용구장인 “매디슨 스퀘어가든”에서 열렸다. 7개 그룹, 159 견종, 2500마리가 출진하며 참가자격은 USA 챔피언견에 한하여 선착순으로 2500두를 접수하다가 랭킹 1위견도 선착순에서 제외되는 사태가 발생하자 127회 대회부터는 랭킹 2,500위까지 초청(Invitation)하여 전람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조편성 은 성별로 2개 나뉜다. 수조 : 사람으로 따진다면 남자에 해당한다. 암조: 사람으로 따진다면 여자에 해당된다.

나이로 6개 조로 나뉜다. (※도그쇼 조편성이 변경되었습니다. 2006.8.5부터 적용)

조-개월수/베이비 - 생후 3~6개월까지 /퍼피-생후 6개월~12개월까지/주니어- 생후 12~18개월까지 /영어덜트-생후 18~24개월까지/어덜트- 생후 24개월 이상 /챔피언 - 퍼피, 주니어, 어덜트 각 해당조로 출진

 만약 생후 20개월 된 암컷개가 출진한다면 “영어덜트 암조”가 되며, 수컷개가 출진하면 “영어덜트 수조”가 되는 것이다.

 

도그쇼 진행은 어떻게 하며 BIS란 무엇인가요?

1차전 : 조별 1석을 선발한다. 조는 생후 3 ~ 6개월/ 6 ~ 12개월/ 12 ~ 18개월/ 18 ~ 24개월/ 24개월 이상. 이렇게 5개 조에 암컷조, 수컷조를 다시 나눔으로 모두 10개 조가 된다. 이렇게 나뉜 10개 조에서 1석을 뽑는다.

2차전 : 견종 대표(BOB)를 선발한다. 10개 조의 1석들을 모아서 각각 베이비, 퍼피, 주니어~어덜트(CH조 포함) 각 조에서 그중 가장 견종표준에 가까운 BOB를 선발한다. (암, 수 별도 선발)

3차전 : 성별 대표(WD, WB)를 선발한다. 그들이 속한 성별 중 대표를 선발한다. 퍼피조, 주니어조, 어덜트조로 중 암, 수 1두씩 선발하고, 수컷은 Winners Dog, 암컷은 Winners Bitch라고 한다. 예를 들어 출진 두수가 2 두일 경우 1점이고 2두일 경우에는 3점, 6두 이상일 경우 최고 5점까지 출진 두수에 따라 포인트점수가 차등적으로 부여된다. (CH포인트 규정 참고.)

4차전 : 견종별 BOS, BOW를 선발한다. WD, WB를 선발하면 그중에 BOW(BEST OF WINNERS)와 BOS(BEST OF OPPOSITE SEX)를 선발한다. 포인트 점수는 WD와 WB의 출진 두수를 합쳐서 부여된다.

5차전 : 그룹 대표(BIG)를 선발한다. 각 견종별 베이비, 퍼피, 주니어~어덜트조에서 BOB들을 그룹별로 모아 그룹 대표를 선발한다. (CH포인트 규정 그룹전 점수 참고.)

6차전: 쇼의 최고 우수견(BIS, R.BIS)을 선발한다. 그룹(BIG) 1석으로 선발된 견들이 모여 도그쇼 최종 우수견을 선발한다. (베이비조, 퍼피조, 주니어조~어덜트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KKC에서는 출진견들의 나이에 따라 5개 조로 나눠서 시행한다. 생후 3~6개월 미만의 출진견: 베이비조(BABY) 생후 6~12개월 미만의 출진견: 퍼피조(PUPPY) 생후 12~18개월 미만의 출진견: 주니어조(JUNIOR) 생후 18~24개월 미만의 출진견: 영어덜트조(YOUNG ADULT) 생후 24개월 이상의 출진견: 어덜트조(ADULT)

BIS:BEST IN SHOW 해당 쇼에서 최고의 개에게 부여하는 최고상

R.BIS:RESERVE BEST IN SHOW 최고의 대상을 예약했다는 뜻으로 우수상을 의미함 

BOB : BEST OF BREED  해당 견종 중에서 최고의 견

 

도그쇼 심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각각의 견종마다 정해져 있는 표준에 입각하여 심사를 본다. 심사는 개체심사, 보행심사, 성품심사 3가지로 나뉘며 심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개체심사 :견종마다 정해진 표준에 맞는 표현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며 신체 각 부위를 세밀히 검사한다. 이빨의 개수, 치열, 턱의 맞물림 정도, 눈의 색, 모질, 모량, 모색, 꼬리의 길이, 발의 형태, 전체적인 체고(키), 체장(길이), 몸무게 등을 검사하며 수컷의 경우는 고환의 유무와 형태도 중요한 채점 요인으로 작용한다. 2 보행심사 : 견체를 구성하는 각 관절의 움직임과 밸런스(균형), 그리고 개의 관리상태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링 전체를 크게 돌리는 라운딩, 삼각형으로 걷게 하는 트라이앵글, 앞으로 갔다가 다시 오는 업다운 등 주로 세 가지로 나뉜다. 3 성품심사 : 핸들러와의 호흡, 이빨 검사를 하기 위하여 입을 벌리거나, 고환검사 등 촉각 검사를 할 때 개의 태도, 워킹을 할 경우 앞이나 뒤쪽 개와의 관계 등을 살펴보며 성품을 검사한다. 위처럼 검사하여 후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유전적 결함은 철저하게 배제하며, 좋은 형질은 추천하여 석차를 매겨서 좋은 개가 여러 일반 애견인들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우수견 번식 품평회(도그쇼)”의 목적이 되고 있다. 곧 다가오는 2025년 6월 21~22일에 애견협회에서 주관하는 도그쇼가 열릴 예정입니다. 어린이대공원 내 육영재단 쪽에 있는 도그쇼 전시장에서 진행하니 가까이 거주하시는 분들은  나들이 삼아 한번 방문하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 거 같습니다.